티스토리 뷰

반응형

높이뛰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룰/도약법 등)

[육상에서 결코 빠질수 없는 종목! 높이뛰기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봅시다]

 

- 높이뛰기(High jump)는 육상경기 중 도약경기에 속하는 종목으로, 도움닫기를 하고 한 발로 건너뛰어 넘기는 바 높이를 겨루는 경기로, 고대 올림픽 무렵부터 행해진 대표적인 육상 경기 중 하나다.

 

높이뛰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001

 

 높이뛰기 룰(규칙)

- 경기 인원이 4명 이상일 경우, 시기(1차 시기, 2차 시기 그것)의 시작 신호가 있어야 하며, 1분 이내에 시기의 진행을 해야 한다.
- 경기자가 2~3명일 경우, 1분 30초가 된다.
- 마지막 경기자일 때 3분이다.
- 경기자가 2명 이상일 경우, 동일 경기자가 같은 높이를 연속해서 시기를 할 때 2분이 된다.
- 혼성경기의 경우, 경기 인원 4명 이상일 경우엔 시기의 시작 신호가 있어야 하며 1분 이내에 시기의 진행을 해야 한다.
- 경기자가 2~3명일 경우, 1분 30초가 된다.
- 마지막 경기자인 경우 2분이 된다.

 

높이뛰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002


- 경기자가 2명 이상일 경우, 동일 경기자가 연속해서 경기할 경우 2분이 되며 높이가 바뀌어도 적용된다.
- 도움닫기의 기준이 되는 마커를 2개까지 둘 수 있다.
- 주최 측이 마커를 준비하지 않을 경우, 선수 측이 준비한 접착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분필이나 유사품, 지워지지 않는 마커는 사용할 수 없다.
- 한 발로 결단해야 한다.
- 같은 높이의 바로 3회 시기가 가능하며, 3회 연속 실패하면 다음 도약을 할 수 없다. 
- 단, 1·2회째 성공했을 때는 그 높이에서 시기는 종료된다.
- 바를 넘지 않고, 바 건너편에 닿거나 신체 일부가 노출될 경우 무효시기(실패)가 된다. 다만 도약에 전혀 결과에 유리하지 않다고 심판이 판단한 경우에는 무효시기가 되지 않는다.

 

높이뛰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003

 

- 굳이 뛰지 않고 패스를 해 다음 시기에 다른 높이를 도전할 수 있다.
- 어떤 높이의 1회 혹은 2회째를 실패한 상태에서 패스할 수도 있지만, 다음 높이는 ‘3(앞 높이에서 실패한 횟수)’회밖에 시기가 되지 않는다.
- 마지막 1인 시기에서는 시기의 희망 높이를 듣고 바를 올린다.
- 기록이 같을 경우, 순위를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 기록을 세운 높이에서 시기횟수가 가장 적은 쪽.
- 시기 전체(동 기록을 생성한 높이까지의 시기 수 전체) 중 무효시기 수가 적은 편.
- 그래도 1위가 결정되지 않았을 때는 당사자들 간의 결선시기(점프오프)가 치러진다.
- 2위 이하의 경우는 같은 순위로 끝낸다.

 

높이뛰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004

 

 도약법

 

 

1) 배면뛰기(Fosbury Flop):  배면뛰기는 육상경기 높이뛰기 도약법의 일종으로, 미국의 딕 포스베리(Richard Douglas "Dick" Fosbury, 1947~)가 가위뛰기 연습 중 힌트를 얻어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어로는 포스베리 플롭(Fosbury Flop)이라고 하며, 그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 출전한 높이뛰기 선수 중, 유일하게 배면뛰기를 사용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도움닫기의 최종 국면에서 곡선을 그리는 형태로 달려들어, 바에 대해 신체의 측면을 향해 뛰어 올라간다. 바를 넘는 순간에는 몸이 뒤로 젖혀지고 상체는 크게 젖혀진다.

허리와 엉덩이가 바 위를 통과한 후, 몸을 앞으로 굽히고 다리를 올려 뒷부분이나 어깨로부터 안전 매트 위에 착지한다.

당시 주류가 됐던 다리벌리기 기술(Straddle technique)을 대체하기 위해 높이뛰기 계에 큰 변화를 줬으며, 현재는 국제대회 등에서 가장 대중적인 도약법으로 가장 높이 뛸 수 있다고 여겨진다.

 

 

2) 가위뛰기: 가위뛰기는 육상경기인 높이뛰기에서 도약하는 방법의 일종으로, 정면뛰기라고도 하며 허들을 넘는 동작에 가깝다.

바에 대해 수직으로 도움닫기를 하고 허들을 뛰어넘을 때처럼, 다리를 크게 벌려 뛰어올라 상체를 비틀거나 쓰러뜨린다. 

바를 넘을 때 몸은 옆을 향하고, 상체는 앞으로 구부리거나 옆으로(진행방향에 대해 뒤로)기울어진다. 가장 초보적이고 오래전부터 이용된 도약법이다.

이것은 다리벌리기 기술의 등장으로 자취를 감췄고, 현재는 배면뛰기의 등장으로 완전히 과거의 도약법이 되었다.

 

 

3) 다리벌리기: 육상 경기 높이뛰기에서 도약하는 방법의 일종이다. 마지막으로 발을 디딘 발을 들어 몸을 수평으로 하고, 얼굴에서 바를 아래로 보는 모양을 하며 회전하도록 하여 뛴다. 

가위뛰기가 기본이었을 무렵에 등장하면서 더 높이 뛸 수 있다는 점에서 급속히 보급, 시대를 새롭게 단신했다. 

이전에는 의무교육 수업 등에서 가위뛰기 등과 함께 널리 이용되고 있던 도약법이었지만, 배면뛰기의 등장으로 국제대회 등에서는 사용되는 경우가 줄어들고 있다.

10종 경기 세계 최고 타이기록인 2m 27은 동독의 크리스티안 솅크(Christian Schenk, 1965~)가 다리벌리기로 기록한 것이다.

 

 역대 세계 기록 TOP 10

[남자]

 

  • 1위 - 하비에르 소토마요르(Javier Sotomayor, 1967~): 쿠바, 2m 45cm, 1993년 7월 27일
  • 2위 - 무타즈 에사 바르심(Mutaz Essa Barshim, 1991~): 카타르, 2m 43cm, 2014년 9월 5일
  • 공동 3위 - 파트리크 셰베리(Patrik Sjöberg, 1965~): 스웨덴, 2m 42cm, 1987년 6월 30일
  • 공동 3위 - 보단 본다렌코(Bohdan Bondarenko, 1989~): 우크라이나, 2m 42cm, 2014년 6월 14일
  • 공동 5위 - 이고리 파클린(Igor Paklin, 1963~): 소련, 2m 41cm, 1985년 9월 4일
  • 공동 5위 - 이반 우호프(Ivan Ukhov, 1986~): 러시아, 2m 41cm, 2014년 5월 9일
  • 공동 7위 - 루돌프 포바르니친(Rudolf Povarnitsyn, 1962~): 소련, 2m 40cm, 1985년 8월 11일
  • 공동 7위 - 소린 마테이(Sorin Matei, 1963~): 루마니아, 2m 40cm, 1990년 6월 20일
  • 공동 7위 - 찰스 오스틴(Charles Austin, 1967~): 미국, 2m 40cm, 1991년 8월 7일
  • 공동 7위 - 비아체슬라프 브로닌(Vyacheslav Nikolayevich Voronin, 1974~): 러시아, 2m 40cm, 2000년 8월 5일
  • 공동 7위 - 데릭 드루인(Derek Drouin, 1990~): 캐나다, 2m 40cm, 2014년 4월 25일
  • 공동 7위 - 안드리 프로첸코(Andriy Oleksiyovych Protsenko, 1988~): 우크라이나, 2m 40cm, 2014년 7월 3일
  • 공동 7위 - 다닐 리센코(Danil RySenko, ?): 러시아, 2m 40cm, 2018년 7월 21일

 

[여자]

 

  • 1위 -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Stefka Kostadinova, 1965~): 불가리아, 2m 09cm, 1987년 8월 30일
  • 2위 - 블랑카 블라시치(Blanka Vlašić, 1983~): 크로아티아, 2m 08cm, 2009년 8월 31일
  • 공동 3위 - 류드밀라 안도노바(Lyudmila Andonova, 1960~): 불가리아, 2m 07cm, 1984년 7월 20일
  • 공동 3위 - 안나 치체로바(Anna Chicherova, 1982~): 러시아, 2m 07cm, 2011년 7월 22일
  • 공동 5위 - 카이사 베르크비스트(Kajsa Margareta Bergqvist, 1976~): 스웨덴, 2m 06cm, 2003년 7월 26일
  • 공동 5위 - 헤스트리에 클로에테(Hestrie Cloete, 1978~): 남아프리카 공화국, 2m 06cm, 2003년 8월 31일
  • 공동 5위 - 옐레나 슬렌사렌코(Yelena Slesarenko, 1982~): 러시아, 2m 06cm, 2004년 8월 28일
  • 공동 5위 - 아리안 프리드리히(Ariane Friedrich, 1984~): 독일, 2m 06cm, 2009년 6월 14일
  • 공동 5위 - 마리야 쿠치나(Aleksandrovna Lasitskene, 1993~): 러시아, 2m 06cm, 2017년 7월 6일
  • 공동 10위 - 타마라 비코바(Tamara Bykova, 1958~): 러시아, 2m 05cm, 1984년 6월 22일
  • 공동 10위 - 하이케 헹켈(Heike Henkel, 1964~): 독일, 2m 05cm, 1991년 8월 31일
  • 공동 10위 - 인하 바바코바(Inha Babakova, 1967~): 소련, 2m 05cm, 1995년 9월 15일
  • 공동 10위 - 티아 헬레바우트(Tia Hellebaut, 1978~): 벨기에, 2m 05cm, 2008년 8월 23일
  • 공동 10위 - 숀티 로위(Chaunté Lowe, 1984~): 미국, 2m 05cm, 2010년 6월 26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