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올림픽 스타디움 모음 (동계 올림픽)
2020. 9. 4. 07:50올림픽 스타디움 모음 (동계 올림픽)
이번엔 역대 동계 올림픽 주경기장을 소개합니다!
- 동계 올림픽(Winter Olympic Games)은 눈과 얼음 위에서 4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 주요 국제 멀티 스포츠 종목으로, 제1회 동계 올림픽은 1924년 프랑스 샤모니(Chamonix-Mont-Blanc)에서 개최되었다.
현대의 올림픽은 기원전 8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그리스의 올림피아에서 열렸던 고대 올림픽 게임에서 영감을 얻었는데,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Pierre de Frédy, Baron de Coubertin, 1863~1937)은 1894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창설해 1896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최초의 근대 하계 올림픽을 이끌었다.
본래 동계 올림픽 5종목(9개 종목으로 구분)은 봅슬레이, 컬링, 아이스하키, 노르딕 스키와 스케이팅(피겨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이었다.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치러진 동계 대회는 1924년부터 1936년까지 4년마다 개최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때문에 1940년과 1944년 동계올림픽은 중단되었다가 1948년에 다시 개최국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재개되었다.
1992년까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이 같은 해에 개최되었고, IOC의 1986년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을 짝수 해 4년 주기로 정하기로 한 결정에 따라, 1992년 이후 다음 동계 올림픽은 해당 주기를 맞추기 위해 지난 대회에서 2년만인 1994년에 개최되었다.
동계 올림픽은 시작부터 발전해 왔다. 여러 종목이 추가되었고 알파인 스키, 루지, 쇼트트랙, 프리스타일 스키, 스켈레톤, 스노보드와 같은 종목 중 일부는 올림픽 프로그램에서 확고한 자리를 굳혔고, 컬링과 봅슬레이를 포함한 몇몇 다른 종목들은 잠시 밀려났다가 나중에 다시 올림픽에 추가되었다.
한편, 글로벌 매체로서 텔레비전의 발흥은 올림픽의 위상을 높였다. 그것은 방송권 판매와 광고를 통해 수입을 창출했고, IOC는 이를 수익성 있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텔레비전 회사나 기업 후원자와 같은 외부 이해관계자들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과도한 상업화는 덤).
IOC는 내부 스캔들, 동계 올림픽 경기에 대한 정치적 보이콧뿐만 아니라 동계 올림픽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불법 약물 사용과 같은 수십 년 동안 수많은 비판을 다루어야 했다. 각국은 동계 올림픽과 하계 올림픽을 개최국의 정치체제 우월성을 선언하기 위해 웅장한 올림픽 스타디움과 함께 사용해 왔다.
동계 올림픽 경기는 12개국, 3개 대륙에서 개최되었는데, 다음과 같다.
·미국(1932년, 1960년, 1980년, 2002년)
·프랑스(1924년, 1968년, 1992년)
·오스트리아(1964년, 1976년)
·캐나다(1988년, 2010년)
·일본(1972년, 1998년)
·이탈리아(1956년, 2006년)
·노르웨이(1952년, 1994년)
·스위스(1928년, 1948년)
·독일(1936년)
·유고슬라비아(1984년)
·러시아(2014년)
·한국(2018년)
2020년 현재, 남반구 어느 도시도 남반구 기준으로 여름의 절정에서 2월에 열리는 한파에 의존하는 동계 올림픽 개최 신청을 하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12개국이 매년 빠짐없이 동계 올림픽에 참가해왔다(오스트리아, 캐나다, 핀란드, 프랑스, 영국, 헝가리, 이탈리아, 노르웨이, 폴란드, 스웨덴, 스위스, 그리고 미국).
역대 동계 올림픽 스타디움
1. 샤모니 동계 올림픽 (1924년)
- 올림픽 스타디움: 스타드 올랭피크 드 샤모니 (Stade Olympique de Chamonix)
- 국가: 프랑스 (France)
- 도시: 샤모니 (Chamonix)
- 수용인원: 약 45,000명
- 개장: 1923년
2.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 (1928·1948년)
- 올림픽 스타디움: 생모리츠 올림픽 아이스 링크 (St. Moritz Olympic Ice Rink)
- 국가: 스위스 (Switzerland)
- 도시: 생모리츠 (St. Moritz)
- 수용인원: 약 4,000명
- 개장: 1921년
3.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1932년)
- 올림픽 스타디움: 레이크플래시드 스피드스케이팅 오발 (Lake Placid Speedskating Oval)
- 국가: 미국 (United States)
- 도시: 레이크플래시드 (Lake Placid)
- 수용인원: 약 7,500명
- 개장: 1932년
4.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 올림픽 (1936년)
- 올림픽 스타디움: 올림피아 스키스타디온 (Große Olympiaschanze)
- 국가: 독일 (Germany)
- 도시: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Garmisch-Partenkirchen)
- 수용인원: 약 40,000명
- 개장: 1921년
5. 오슬로 동계 올림픽 (1952년)
- 올림픽 스타디움: 비셀트 스타디온 (Bislett Stadium)
- 국가: 노르웨이 (Norway)
- 도시: 오슬로 (Oslo)
- 수용인원: 약 20,000명
- 개장: 1922년
6. 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 (1956년)
- 올림픽 스타디움: 스타디오 올림피카 (Stadio Olimpico Del Ghiaccio)
- 국가: 이탈리아 (Italy)
- 도시: 코르티나담페초 (Cortina d'Ampezzo)
- 수용인원: 약 12,000명
- 개장: 1955년
7.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 (1960년)
- 올림픽 스타디움: 블트 아레나 (Blyth Arena)
- 국가: 미국 (United States)
- 도시: 스쿼밸리 (Squaw Valley)
- 수용인원: 약 8,500명
- 개장: 1960년
8. 인스부르크 동계 올림픽 (1964·1976년)
- 올림픽 스타디움: 베르기셀 (Bergiselschanze)
- 국가: 오스트리아 (Austria)
- 도시: 인스부르크 (Innsbruck)
- 수용인원: 약 26,000명
- 개장: 1930년
9. 그르노블 동계 올림픽 (1968년)
- 올림픽 스타디움: 템포래리 올림픽 스타디움 (Stade olympique de Grenoble)
- 국가: 프랑스 (France)
- 도시: 그르노블 (Grenoble)
- 수용인원: 약 60,000명
- 개장: 1968년
10. 삿포로 동계 올림픽 (1972년)
- 올림픽 스타디움: 마코마나이 오픈 경기장 (Makomanai Open Stadium)
- 국가: 일본 (Japan)
- 도시: 삿포로 (Sapporo)
- 수용인원: 약 30,000명
- 개장: 1971년
11.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1980년)
- 올림픽 스타디움: 레이크플래시드 에큐에스트리안 경기장 (Lake Placid Equestrian Stadium)
- 국가: 미국 (United States)
- 도시: 레이크플래시드 (Lake Placid)
- 수용인원: 약 30,000명
- 개장: 1945년
12.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 (1984년)
- 올림픽 스타디움: 아심 페르하토비치 하세 경기장 (Koševo City Stadium)
- 국가: 유고슬라비아 (Yugoslavia)
- 도시: 사라예보 (Sarajevo)
- 수용인원: 약 50,000명
- 개장: 1947년
13. 캘거리 동계 올림픽 (1988년)
- 올림픽 스타디움: 믁모혼 경기장 경기장 (McMahon Stadium)
- 국가: 캐나다 (Canada)
- 도시: 캘거리 (Calgary)
- 수용인원: 약 38,205명
- 개장: 1960년
14.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 (1992년)
- 올림픽 스타디움: 더아트레 데스 케레모니에스 (Theatre of Ceremonies)
- 국가: 프랑스 (France)
- 도시: 알베르빌 (Albertville)
- 수용인원: 약 35,000명
- 개장: 1991년
15.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1994년)
- 올림픽 스타디움: 더아트레 데스 케레모니에스 (Lysgårdsbakken)
- 국가: 노르웨이 (Norway)
- 도시: 릴레함메르 (Lillehammer)
- 수용인원: 약 35,000명
- 개장: 1993년
16. 나가노 동계 올림픽 (1998년)
- 올림픽 스타디움: 나가노 올림픽 스타디움 (Nagano Olympic Stadium)
- 국가: 일본 (Japan)
- 도시: 나가노 (Nagano)
- 수용인원: 약 30,000명
- 개장: 1998년
17. 솔트레이크 동계 올림픽 (2002년)
- 올림픽 스타디움: 라이스-에클레스 스타디움 (Rice-Eccles Olympic Stadium)
- 국가: 미국 (United States)
- 도시: 솔트레이크 시티 (Salt Lake City)
- 수용인원: 약 45,017명
- 개장: 1998년
18. 토리노 동계 올림픽 (2006년)
- 올림픽 스타디움: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Stadio Olimpico di Torino)
- 국가: 이탈리아 (Italy)
- 도시: 토리노 (Torino)
- 수용인원: 약 28,000명
- 개장: 1933년
19. 벤쿠버 동계 올림픽 (2010년)
- 올림픽 스타디움: BC 플레이스 스타디움 (BC Place Stadium)
- 국가: 캐나다 (Canada)
- 도시: 벤쿠버 (Vancouver)
- 수용인원: 약 54,500명
- 개장: 1983년
20. 소치 동계 올림픽 (2014년)
- 올림픽 스타디움: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Fisht Olympic Stadium)
- 국가: 러시아 (Russia)
- 도시: 소치 (Sochi)
- 수용인원: 약 40,000명
- 개장: 2013년
21. 평창 동계 올림픽 (2018년)
- 올림픽 스타디움: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 (Pyeongchang Olympic Stadium)
- 국가: 대한민국 (Republic of Korea)
- 도시: 평창군 (Pyeongchang County)
- 수용인원: 약 35,000명
- 개장: 2017년